단계 | 기준 | 특징 |
---|---|---|
![]() |
정상 | |
![]() |
풍랑주의보 발표 |
1. 해안가에서는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풍랑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재난 예·경보를 청취합시다. 2.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는 외출을 자제하고 해안가에 접근하지 맙시다. 3. 해안가의 낚시꾼, 야영객, 행락객 등은 인근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4. 해안가 위험축대 등 시설물은 사전에 철거하거나 접근을 하지 맙시다. |
![]() |
풍랑경보 발표 |
1. 높은 파도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방파제, 방조제 등에 가지 맙시다. 해안도로는 유실 등이 예상되므로 통행을 자제합시다. 대피를 권유하는 방송이 없을 시에도 위험을 느끼게 되면 스스로 대피합시다. 2. 해상에서는항해 중이거나 조업어선은 인근 선박이나 관계기관(어업무선국 등)에 연락하고 대피를 준비합시다. 항 내 정박·선박은 충돌, 침몰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한다. 3. 수산시설은수산 증·양식시설을 고정하고 지지대로 보강하여 높은 파도와 강풍에 유실되지 않도록 합시다. 이동 가능한 양식자재·해상작업대 등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 조치합시다. 4. . 항만시설은각종 하역장비별 피해예방활동을 합시다. 항만공사장의 공사용 장비, 인원은 안전지대로 대피합시다. |
![]() |
태풍경보 발표 |
1. 태풍의 진로 및 도달 시간을 파악해서 어떻게 대피할지를 생각합니다.
2.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3. 주택이나 차량,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이나 지역주민과 함께 준비합니다
4.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에 대비합니다.
5.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은 수시로 안부를 확인합니다.
|
단계 | 기준 | 대응요령 |
---|---|---|
![]() |
위기징후 감시결과 징후 목록이 포착되지 않은 상태 | |
![]() |
선박의 사고의 위기 징후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재난으로 발전가능성이 활발하여 재난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경향이 나타날 때 |
선박 출항 전에는
선박 항해 중에는
선박 충돌, 침수 등 비상상황에는
|
![]() |
선박의 사고의 위기 징후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재난으로 발전가능성이 활발하여 재난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경향이 농후할 때 | |
![]() |
선박의 사고의 위기 징후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재난으로 발전가능성이 활발하여 재난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실할 때 | |